
VOL.3
크
블
리
크마
블라인드
리서치
직장 내 동료 인식조사
Introduction
국내 대표 지식서비스기관 KMA와 국내 최대 직장인 플랫폼 블라인드가 함께 조직문화 리서치를 실시했습니다. 크블리는 K-직장인이라면 한번쯤 겪어 봤을 <나>를 둘러싼 상사, 후배, 동료, 조직 등 수많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슈와 직장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중심으로 조직문화 관련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크블리 · HR 조직문화 리서치 · Jun 2022
Vol.3 '직장 내 동료' 인식 조사
동료이몽

조끄뜨레 하기엔 하영멍 당신.
Overview
• 조사방법 | 블라인드 모바일 리서치(블라인드 APP)
• 조사대상 | 직장인 플랫폼 블라인드 User
• 조사기간 | 2022.5.23 - 2022.6.3
• 조사문항 | 7문항
• 응답자수 | 블라인드 응답 3,927명, KMA 홈페이지 412명
• 조사주관 | KMA 한국능률협회
30-39
years
20-29
years
40-49
years
50-59
years
01
Age
20-29 24%
30-39 50%
40-49 22%
50-59 4%
02
Gender
female 53%
male 47%
female
male


Q 1
비대면 ·재택근무로 인해 동료와의 소통 수준의 변화가 있나요?
01
Result
코로나 19로 인해 시행된 재택근무로 인해 '긍정적인 변화가 일부 있다'는 답변이 '부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응답보다 근소하게 많았습니다. 전체 응답을 통해 긍정적 인식이 부정적 인싱보다 10% 많았습니다.
39%
긍정적인 변화가 일부 있다.
37%
부정적인 변화가 일부 있다.
12%
긍정적인 변화가 많이 있다.
8%
기타(변화없음, 재택근무X)
5%
부정적인 변화가 많이 있다.
Q 2
동료관계가 업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어디인가요?
02
Result
응답자의 71%가 팀 분위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했습니다. 이밖에 업무 성과(12%), 업무 몰입도(9%), 개인 평판(7%)이 그 뒤를 차지했습니다.
71%
팀 분위기(팀내에서 분위기)
12%
업무성과
9%
업무 몰입도(업무 집중력)
7%
개인평가(타인의 평가)
5%
부정적인 변화가 많이 있다.
Q 3
동료와 협업 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 때문인가요?
성향 차이 (팀 구성원 간 소통방식 차이)
팀십 기회 부족 (소통기회 부족)
24%
개인화 심화 (개인 성과에만 집중)
13%
경쟁 문화 (동료간 경쟁 유발)
8%
기타 (업무의 쏠림 현상, 협업 동료의 갑질 등)
1%
53%
03
Result
과반수가 넘는 53%의 직장인이 팀 구성원 간 성향 차이(소통 방식 차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뒤이어 팀십 기회 부족(구성원 간 소통기회 부족), 개인화 심화(개인 성과 집중), 경쟁 문화(동료간 경쟁 유발) 등의 답변이 있었습니다.
Q 4
바람직한 동료관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42%
공적 영역에서
친밀한 소통
48%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일부 소통
04
Result
직장인들은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의 일부 소통이 이루어지는 관계가 바람직한 동료 관계라고 가장 많이 꼽았으며(48%), 다음으로 공적인 영역에서만 긴밀한 소통을 하는 관계(42%)도 바람직하다고 꼽았습니다.
8%
공적·사적 영역에서 적극 소통
1%
사적 영역에서 친밀한 소통
1%
기타(공적 긴밀·사적 영역 일부)
Download
전체 리서치 결과와 분석 리포트가 궁금하신가요?
이전 리서치 리포트가 함께 전달됩니다.
00
Report
• 전체문항 | 7문항
• 분석항목 | 인구통계
• 문항구성
- 거시적 환경과 동료 관계 영향
- 동료 관계와 업무
- 선호·불호 동료 유형
- 희망 도입 교육
• 총 30 Page | 20 min
